Asian J Kinesiol Search

CLOSE


Asian J Kinesiol > Volume 26(2); 2024 > Article
Lee and Kim: Effect of Kinesio Taping Application on 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A Mini Review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and mechanisms of kinesio taping on 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and provide guidelines for field application.

METHODS

To review the literature, we searched PubMed, Web of Science, and Wiley Online Library using keywords including “kinesio taping,” “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eccentric muscle contraction,” “delayed-onset muscle soreness (DOMS).”

RESULT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kinesio taping effectively reduces 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particularly DOMS). The ‘convolutions’ characteristics of kinesio taping are assumed to be the primary contributor to these results. Some mechanical or neurological mechanism may also exert a substantial effect. For field applications, the application period, tension, and type of KT interventions should be considered.

CONCLUSIONS

Kinesio taping may be a useful tool to promote recovery from 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Some aspects of kinesio-taping and its therapeutic mechanisms require further study.

서론

반복적인 신장성 근수축(eccentric muscle contraction)을 포함한 격렬한 운동이나 익숙하지 않은 새로운 운동은 신체의 근육조직에 항상성 손실을 가져오면서 근육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1]. 이러한 근육손상은 엘리트 운동선수나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는 일반인 모두에게 피로와 근육통증을 유발하여 퍼포먼스 감소와 함께 심리적인 불편함을 느끼게 하고, 때로는 긴 회복시간을 필요로 해서 운동의 참여를 늦추는 중요한 원인이 된다[2]. 그래서 스포츠과학자들은 운동유발성 근육손상을 감소시키고 운동 후 회복을 촉진할 수 있는 다양한 중재 방법에 대한 연구를 오랫동안 수행해왔고, 효과가 있는 중재 방법으로 아이스테라피(냉욕)나 특정 영양소 및 보충제 섭취 등을 제안한 바 있다[3,4].
최근에는 키네시오 테이핑(kinesio taping)이 운동유발성 근육손상을 감소시키고 회복을 촉진시킬 수 있는 중재 방법으로 주목을 받았다[5,6]. 키네시오 테이핑은 1970년대에 카이로프락터인 겐조 카세(Kenzo Kase) 박사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부상당한 근육과 관절의 지지를 비롯하여 근막 기능 및 위치 개선, 분절 안정성 증가, 피부를 들어 올려 혈액과 림프의 흐름 개선, 통각 수용기 자극 감소에 의한 통증 완화 등에 도움을 준다는 주장에 기반하고 있다[7,8]. 키네시오 테이핑은 다양한 임상 상황, 특히 상지와 하지를 포함하는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물리치료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고, 비탄력성 붕대에 비해 붙이는 부위에서 충분한 가동성을 유지할 수 있는 고유의 신축성을 갖고 있어서 스포츠 및 기타 재활 분야에 널리 보급되어 있다[9]. 몇몇의 연구에 의하면 키네시오 테이핑의 적용은 운동유발성 근육손상의 감소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10,11] Hazar Kanik et al. [10]은 고강도 운동을 수행한 후 키네시오 테이핑을 대퇴사두근에 적용했을 때, 회복기에서 지연성 근육 통증(delayed-onset muscle soreness, DOMS)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고 보고하였으며, Kim et al. [11]은 반복적인 신장성 운동 수행 중 키네시오 테이핑을 상완이두근에 적용했을 때, DOMS를 비롯하여 크레아틴 키나제(creatine kinase, CK) 수준이 유의하게 낮았다고 하면서 키네시오 테이핑이 근육손상으로부터의 회복을 촉진하는 데 있어서 유용한 기술이 될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키네시오 테이핑은 운동선수나 일반인의 만성 손상 및 통증, 수술 후 재활의 중재 방법 등에 초점을 맞춰 연구되어 왔다[12]. 예를 들어, 기존에 나왔던 키네시오 테이핑 연구는 어깨 충돌 증후군(shoulder impingement)이나 슬개대퇴동통증후군(patellofemoral pain syndrome), 만성 발목 불안정성, 요통 등에서의 효과를 주로 보고하면서 신체의 만성적인 근기능 감소나 통증 등으로 문제를 겪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하나의 비수술적 방법으로 제시되었다[12,13]. 반면에, 키네시오 테이핑이 운동유발성 근육손상과 같은 급성 손상에서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키네시오 테이핑이 운동유발성 근육손상과 같은 급성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효과와 관련된 기전과 함께, 현장에 적용할 때 알아야 할 지침 등에 대해 문헌 고찰을 통해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운동유발성 근육손상의 기전과 증상

오래 전부터 연구된 운동유발성 근육손상의 기전에는 몇 가지 생리 및 생화학적 요인이 관여한다. 우선 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근수축, 특히 신장성 근수축(eccentric muscle contraction)을 반복하게 되면 근절(sarcomeres)의 과도한 신장과 함께 구조적 손상이 나타나고 이것은 흥분-수축 결합(excitation-contraction coupling)을 방해하면서 근기능을 감소시킨다[2]. 근절의 손상은 근섬유 내에 위치한 근형질세망(sarcoplasmic reticulum)에도 영향을 미쳐 칼슘 항상성의 손실을 일으키고, 칼페인(calpain)으로 불리는 칼슘 친화성 단백질 분해효소와 포스포스리파제 A2(phospholipase A2)의 활성을 가져와 세포막 손상을 더욱 증가시키게 된다[14].
그리고 손상된 근육 부위에 호중구를 비롯하여 자연살해세포, 림프구, 대식세포의 이동이 많아지면서 염증성 반응이 활발하게 나타나며, 특히 호중구와 대식세포의 활동은 염증성 반응을 증가시키면서도 호흡폭발(respiratory burst)이라는 과정을 통해 단백질 분해 효소와 산소 및 질소종(oxygen & nitrogen species)의 생산 또한 일으킨다[14]. 덧붙여, 염증성 반응을 통해 생성되는 여러 통증 유발 물질(브래디키닌, 프로스타글란딘 등)은 근섬유 주변에 위치한 통각수용기(nociceptors)를 자극하게 되어 통증을 유발시킨다[15].
운동유발성 근육손상의 주요 증상에는 최대 근력 및 관절가동범위의 감소, DOMS 및 부종 발생이 있다[2]. 혈액으로도 운동유발성 근육손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 CK와 마이오글로빈(myoglobin, Mb), 젖산탈수소효소(lactate dehydrogenase, LDH) 등으로는 근육세포막의 손상 정도를 관찰하고, C-반응성 단백질(C-reactive protein, CRP), 인터류킨-6(interleukin-6, IL-6), 종양괴사인자-알파(tumor necrosis factor-α, TNF-α)와 같은 지표로는 염증성 반응을 알아볼 수 있다[16]. 일반적으로 증상은 운동 직후부터 운동 후 최대 14일까지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 이러한 이유로 현장에 있는 코치와 트레이너는 운동 유발성 근육손상에 의한 기전과 그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을 잘 알고 이해하여 엘리트 운동선수나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는 일반인이 피로를 감소시키고 회복을 촉진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운동유발성 근육손상에 키네시오 테이핑이 미치는 영향

몇몇의 연구가 일반인을 대상으로 운동유발성 근육손상을 통해 키네시오 테이핑의 효과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Lee et al. [17]은 최대 등척성 근력의 70% 강도로 덤벨 운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근육손상을 유발시켰을 때, 상완이두근에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한 집단에서 근력의 손실을 낮추면서 회복에 효과적이라고 제시하였다. Kim et al. [11]은 상완이두근에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한 후 변형된 프리처컬 장비로 신장성 근수축을 여러 회 반복해서 근육손상을 유발시킨 결과, 키네시오 테이핑 적용 집단에서 최대 등척성 근력과 관절가동범위가 빠르게 회복되었고, DOMS와 CK는 유의하게 감소되었다고 하였으며, Ozmen et al. [18]은 스쿼트 운동 전에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한 후 반복적인 운동을 통해 근육손상을 유발시켰을 때, DOMS와 근기능에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했지만, 관절가동범위의 유지에는 도움이 되었다고 보고하였다.
Hazar Kanik et al. [10]은 대퇴사두근에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한 후 반복적으로 드롭 점프를 수행시킨 결과, 운동 후 72시간에 DOMS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고 하였으며, Camacho et al. [5] 또한 둥속성 장비를 활용하여 무릎 신전근의 반복적인 신장성 근수축을 통해 근육손상을 유발하게 한 후, 키네시오 테이핑을 운동 직후부터 회복기 4일 동안 지속적으로 적용했을 때, 운동 후 48시간에 DOMS의 감소가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Kirmizigil et al. [19]은 반복적인 드롭 점프 운동을 통해 근육손상을 유발시킨 후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한 결과, DOMS는 키네시오 테이핑 적용군에서만 운동 후 72시간에 정상 수준으로 돌아왔으며, 밸런스와 수평 점프 퍼포먼스에서도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고 하였다. Hung et al. [6]의 연구에서는 고강도 인터벌 운동을 통해 근육손상을 유발한 이후 대퇴사두근에 키네시오 테이핑 적용의 효과를 조사한 결과, 키네시오 테이핑이 회복기 동안 대퇴사두근의 DOMS와 부종을 감소시키는 데 있어서 효과가 없었지만, 근력의 회복에는 도움이 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반면에, Ko & Kim [20]의 연구에서는 등속성 장비를 이용하여 하지 근육에 반복적인 근수축을 통해 근육손상을 유발시킨 후, 키네시오 테이핑의 효과를 검증하였으나 키네시오 테이핑이 회복기 동안 CK와 LDH의 변화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기존의 연구들과 상반된 결과가 나온 것은 운동 모델에 차이가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Ko & Kim [20]이 등속성 운동 장비를 통해 반복적인 단축성 근수축(concentric muscle contraction)으로 근육손상을 일으켰지만, 운동 직후에 증가된 CK가 평균 130∼192 U/L이었으며, 운동 후 24시간에도 평균 231∼257 U/L 수준이었다. 이전에 보고된 운동 전 CK의 정상 범위가 60∼400 U/L임을 감안할 때[21], Ko & Kim [20]의 연구에서 사용된 운동 모델에 의해 근육손상이 충분하게 일어나지 않으면서 연구 결과에 영향을 준 것으로 추측해볼 수 있다. Koch et al. [21]은 운동유발성 근육손상에 의해 CK는 500 U/L부터 6000 U/L 이상까지 증가될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 아마도 등속성 장비에서의 근수축 특성 차이가 이러한 결과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되는데, 연구에서 등속성 운동 장비를 활용했던 Camacho et al. [5]의 연구에서는 단축성이 아닌 신장성 근수축을 일으켜 근육손상을 유발하였으며, 회복기(특히, 운동 후 48시간)에 CK가 정상 수준에 비해 유의한 수준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축성보다는 신장성 근수축이 더 큰 근육손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22].
한편, 최근에는 운동유발성 근육손상과 키네시오 테이핑 적용에 대해 엘리트 운동선수를 대상으로도 연구가 진행되었다. Malhotra et al. [23]은 사이클을 비롯하여 배드민턴, 장거리 육상선수를 대상으로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시킨 뒤 트레드밀 달리기를 실시하게 했을 때, 운동 이후에 DOMS 감소와 피로 유발 시간 지연에 효과가 있었고, 종아리 근육의 신장성 또한 향상시키는 데 있어서 도움이 되었다고 보고하였으며, Song & Yang [24] 또한 엘리트 여자 배구선수를 대상으로 내리막 달리기를 실시하여 근육손상을 유발시켰을 때,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한 선수는 운동 후 24시간과 48시간에 DOMS가 감소되었다고 하였으며, 염증성 반응의 지표 중 하나인 IL-6 또한 달리기 직후와 운동 24시간 후에 대조군보다 낮았다고 보고하면서 엘리트 운동선수에게 키네시오 테이핑 적용이 통증 증상 완화에 효과적인 보호 전략이라고 제시한 바 있다.

키네시오 테이핑의 운동유발성 근육손상 감소 기전

키네시오 테이핑의 효과와 관련하여 가장 많이 제시되고 있는 기전은 테이프를 적용한 이후에 생기는 피부의 ‘컨볼루젼(convolutions)’일 것이다. 컨볼루젼과 관련하여 겐조 카세 박사는 테이프를 적용한 후 발생하는 주름이 피부를 들어 올려 조직 아래에 위치한 통증 수용기의 압력을 감소시키고, 피부 아래 공간을 증가시켜서 혈액 및 림프 순환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통증을 감소시킨다는 이론을 제안하였다[25].
Camacho et al. [5]은 키네시오 테이핑에 의한 DOMS의 감소는 혈액 순환 향상으로 나타난 것으로 가정할 수 있는데, 테이프로 간질 공간이 넓어지고 이로 인해 감소된 염증이 피부 아래에 위치한 통각수용기의 발화율 및 감각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실제로, 최근 연구에 의하면 키네시오 테이핑 적용 이후, 회복기 동안 DOMS와 함께 IL-6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24]. Banerjee et al. [26]은 키네시오 테이핑에 의한 컨볼루젼이 피부의 기계적 변화를 일으키면서 표피를 진피로부터 들어 올려 간질 부피를 증가시키고 간질 압력을 감소시켜 간질액을 비롯하여 혈액 및 림프의 흐름을 변화시키는 것이 타당해 보이며, 이러한 간질액의 흐름 변화는 통증 관리 및 치료에 중요한 임상적 의미를 갖는다고 설명하였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관문조절설(gate control theory)이라는 통증 이론을 DOMS 감소에 대한 근거로 제시하였다[5]. 관문조절설은 비침해성 섬유(non-nociceptive fibers)의 자극은 직경이 작은 신경섬유(small diameter nerve fibers)에서 척수로 침해성 입력(nociceptive input)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통증을 감소시킨다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키네시오 테이핑에 의한 피부의 기계적 자극은 통증 섬유의 신호를 억제하거나 방해하여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27]. 실제로, Naugle et al. [28]의 연구에 의하면 키네시오 테이핑을 근육에 적용하면 반복적인 압력 자극으로 인해 근육 민감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전의 연구에서는 키네시오 테이핑의 컨볼루젼 효과가 운동유발성 근육손상에 의해 혈액에 증가하는 근육 단백질(예를 들어, CK)의 제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11]. 몇몇의 연구에서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한 후 회복기에 CK와 부종 감소가 관찰되었다는 사실을 보고한 바 있다[6,11]. Kaya et al. [29]은 키네시오 테이핑이 피하 공간을 확장하여 림프 순환과 혈류를 촉진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화가 CK 같은 물질의 제거를 도울 수 있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운동유발성 근육손상 후 근력과 같은 근기능의 향상과 관련해서는 몇 가지 가설이 제시되었다. 우선 키네시오 테이핑에 의한 고유수용성 감각(proprioception) 개선이 있다. 키네시오 테이핑의 기본적인 특성이 테이프의 반동력을 통해 피부와 연부조직을 늘려 피부의 고유 수용기를 자극하고 감각 입력을 증가시키는 것이기 때문이다[30]. 특히, 근육손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잘 알려진 신장성 운동은 고유수용성 감각의 기능 장애로 인해서 근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보고되었는데[31], 이는 근방추를 포함한 고유수용성 감각의 교란에 의한 결과일 수 있다고 추측된 바 있다[32]. 이러한 가설을 뒷받침할 수 있는 결과가 최근에 보고되었는데, Li et al. [33]은 등속성 운동 장비를 활용하여 발목에 반복적인 신장성 근수축을 일으킨 후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한 결과, 근력 및 고유수용성 감각의 개선이 다른 테이핑 방법에 비해 더 효과적이라고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Li et al. [33]은 키네시오 테이핑에 의한 고유수용성 감각의 개선은 운동으로 유발된 감각 입력 결핍을 키네시오 테이핑에 의해 제공되는 기계수용기 자극이 상쇄시켰기 때문일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그리고 몇몇의 연구는 키네시오 테이핑이 연부조직에 위치한 감마운동 뉴런(γ-motor neurons)과 함께 피부의 기계수용기를 지속적으로 활성화하고 신경근 동원을 개선시켜 근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설을 제안하기도 하였다[33,34].

회복을 위한 키네시오 테이핑의 현장 적용

현장에서 회복을 목적으로 키네시오 테이핑을 사용할 때,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몇 가지 요인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의 메타분석 연구[35]에 의하면 운동 후 키네시오 테이핑을 오랜 기간 동안 적용하는 것이 DOMS와 근력 손실의 감소에 좀 더 효과적일 수 있기 때문에, 운동 후 48시간 이상 피부에 남겨두는 것이 더 낫다고 제시하였다. Hazar Kanik et al. [10]의 연구에서는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한 후 72시간까지 피부에 남겨두었을 때 DOMS가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하였으며, Kirmizigil et al. [19]의 연구에서도 키네시오 테이핑을 운동 후 3∼5일 동안 적용했을 때 DOMS를 비롯한 밸런스 및 퍼포먼스 회복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최근 Camacho et al. [5] 또한 키네시오 테이핑을 운동 후 4일 간 적용시킨 이후에 DOMS의 감소가 나타난 것으로 보고한 바 있다. 현장에서는 키네시오 테이프를 운동 전부터 사용하고 운동 직후에 벗겨 낸 뒤 적용을 끝내는 경우가 많은데, 회복 촉진에 초점을 둔다면 운동 후에 샤워를 끝낸 뒤 해당 근육 부위에 다시 새로운 키네시오 테이핑을 붙이는 것이 권장될 수 있겠다.
한편, 한 메타분석 연구[36]에 의하면 그동안 여러 연구들에서 적용된 키네시오 테이프의 장력은 12.5∼70% 정도 범위에 있으며, 키네시오 테이프의 장력이 높을 때 통증 감소의 효과크기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연구에서도 키네시오 테이프를 피부에 붙일 때 최대 장력의 25%를 적용한 키네시오 테이프는 근육통증을 감소시킨 반면에, 최소 장력과 75% 장력으로 적용된 키네시오 테이프는 근육통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없었다고 보고되었다[28]. 물론 키네시오 테이프의 최적 장력과 관련한 연구는 제한적이므로 이러한 사실을 일반화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으나 키네시오 테이프를 적용하는 실무자 입장에서는 적용 시에 주의해야 할 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근육에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할 때, 어떠한 형태로 붙이는 것이 좀 더 효과적인가에 대해서도 조사되었다. Hung et al. [6]에 의하면 대퇴사두근에 키네시오 테이핑 적용 시, Y타입(테이프 2개를 경골 결절에 붙이고 양 테이프의 끝부분을 대퇴내측과 외측에 각각 하나씩 붙인 형태) 보다는 십자타입(4갈래로 나뉜 테이프 2개를 내측과 외측 대퇴골과에 각각 붙인 후 양 테이프의 4갈래 부분을 대퇴부 전체를 가로지르게 부착한 형태)이 운동 후 24시간과 48시간에 근력 회복을 촉진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Hung et al. [6]은 키네시오 테이핑의 십자타입 적용이 운동 시 사용된 근육의 부위를 더 넓게 덮어주면서 회복에 대한 효과를 주었다고 제시하였다.
최근의 몇몇 연구는 키네시오 테이핑과 함께 다른 회복 방법의 혼합 적용이 미치는 효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Xue et al. [37]은 드롭 점프를 반복적으로 수행시켜 유발한 근육손상으로부터의 회복 방법으로 키네시오 테이핑과 압박 의류를 혼합해서 적용한 결과, 운동 후 DOMS를 완화하고 근력의 회복 속도를 높이면서 회복 시간을 단축시키는 데 있어서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으며, Que [38]은 내리막 달리기를 통해 근육손상을 유발한 뒤, 키네시오 테이핑과 진동(vibration)의 혼합 적용의 효과를 조사했을 때, 이 두 가지 회복 방법을 각각 단일로 적용했을 때보다 혼합 적용을 했던 것이 DOMS와 근력 손실의 감소에 더 효과적이었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했을 때, 현장에서 회복 방법으로 압박의류나 진동을 사용하고 있는 만큼 키네시오 테이핑과의 혼합 적용 또한 회복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측면에서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결론

이전의 연구들을 종합해보면 키네시오 테이핑은 운동유발성 근육손상과 같은 급성 손상의 회복에 긍정적인 효과(특히, DOMS의 감소)를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키네시오 테이핑은 효과 및 비용과 관련하여 좀 더 효율적인 회복 촉진 방법을 찾는 스포츠의학 및 선수트레이닝 현장에서 유용한 도구 중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키네시오 테이핑이 갖고 있는 잠재적 기능 및 효과는 여전히 주로 가설이나 제한된 과학적 근거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명확하게 밝혀져 있는 것은 많지 않은 실정이다. 추후의 연구를 통해 현재 의문으로 남아 있는 부분이 좀 더 설명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 no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1. Barnes MJ. Nutrition-Based Strategies to Reduce 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and Soreness. Nutrients. 2023; 15(11): 2523.
crossref pmid pmc
2. Owens DJ, Twist C, Cobley JN, et al. 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What is it, what causes it and what are the nutritional solutions? Eur J Sport Sci. 2019; 19(1): 71–85.
crossref pmid
3. Bongiovanni T, Genovesi F, Nemmer M, et al. Nutritional interventions for reducing the signs and symptoms of 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and accelerate recovery in athletes: current knowledge, practical application and future perspectives. Eur J Appl Physiol. 2020; 120(9): 1965–1996.
crossref pmid pdf
4. Xiao F, Kabachkova AV, Jiao L, et al. Effects of cold water immersion after exercise on fatigue recovery and exercise performance--meta analysis. Front Physiol. 2023; 14:1006512.
crossref pmid pmc
5. Camacho MA, Herrera E, Barela JA, et al. Kinesiotaping Diminishes Delayed Muscle Soreness but does not Improve Muscular Performance. Int J Sports Med. 2020; 41(9): 596–602.
crossref pmid
6. Hung BL, Sun CY, Chang NJ, et al. Effects of Different Kinesio-Taping Applications for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after High-Intensity Interval Training Exercis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21; 2021:6676967.
crossref pmid pmc pdf
7. Mostafavifar M, Wertz J, Borchers J. A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kinesio taping for musculoskeletal injury. Phys Sportsmed. 2012; 40(4): 33–40.
crossref pmid
8. Williams S, Whatman C, Hume PA, et al. Kinesio taping in treatment and prevention of sports injuries: a meta-analysis of the evidence for its effectiveness. Sports Med. 2012; 42(2): 153–164.
pmid
9. Biz C, Nicoletti P, Tomasin M, et al. Is Kinesio Taping Effective for Sport Performance and Ankle Function of Athlete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CAI)?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edicina. 2022; 58(5): 620.
crossref pmid pmc
10. Hazar Kanik Z, Citaker S, Yilmaz Demirtas C, et al. Effects of Kinesio Taping on the Relief of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J Sport Rehabil. 2019; 28(8): 781–786.
crossref pmid
11. Kim J, Kim S, Lee J. Longer application of kinesio taping would be beneficial for 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J Exerc Rehabil. 2016; 12(5): 456–462.
crossref pmid pmc pdf
12. Labianca L, Andreozzi V, Princi G, et al. The effectiveness of Kinesio Taping in improving pain and edema during early rehabilitation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 Study. Acta Biomed. 2022; 92(6): e2021336.
pmid pmc
13. Mostafavifar M, Wertz J, Borchers J. A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kinesio taping for musculoskeletal injury. Phys Sportsmed. 2012; 40(4): 33–40.
crossref pmid
14. Stožer A, Vodopivc P, Križančić Bombek L. Pathophysiology of 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and its structural, functional, metabolic, and clinical consequences. Physiol Res. 2020; 69(4): 565–598.
pmid pmc
15. Kim J, Lee J. A review of nutritional intervention on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Part I. J Exerc Rehabil. 2014; 10(6): 349–356.
crossref pmid pmc
16. Peake JM, Neubauer O, Della Gatta PA, et al. Muscle damage and inflammation during recovery from exercise. J Appl Physiol. 2017; 122(3): 559–570.
crossref pmid
17. Lee YS, Bae SH, Hwang JA, et al. The effects of kinesio taping on architecture, strength and pain of muscles in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of biceps brachii. J Phys Ther Sci. 2015; 27(2): 457–459.
crossref pmid pmc
18. Ozmen T, Aydogmus M, Dogan H, et al. The Effect of Kinesio Taping on Muscle Pain, Sprint Performance, and Flexibility in Recovery From Squat Exercise in Young Adult Women. J Sport Rehabil. 2016; 25(1): 7–12.
crossref pmid
19. Kirmizigil B, Chauchat JR, Yalciner O, et al. The Effectiveness of Kinesio Taping in Recovering From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A Crossover Study. J Sport Rehabil. 2019; 29(4): 385–393.
crossref pmid
20. Ko YJ, Kim JS. Effects of Kinesio taping on blood fatigue factors after isokinetic exercise. J Exerc Rehabil. 2021; 17(2): 145–149.
crossref pmid pmc pdf
21. Koch AJ, Pereira R, Machado M. The creatine kinase response to resistance exercise. J Musculoskelet Neuronal Interact. 2014; 14(1): 68–77.
pmid
22. Córdova-Martínez A, Caballero-García A, Bello HJ, et al. Effects of Eccentric vs. Concentric Sports on Blood Muscular Damage Markers in Male Professional Players. Biology. 2022; 11(3): 343.
crossref pmid pmc
23. Malhotra D, Sharma S, Chachra A, et al. The Time-Based Effects of Kinesio Taping on Acute-Onset Muscle Soreness and Calf Muscle Extensibility among Endurance Athletes: A Randomized Cross-Over Trial. J Clin Med. 2022; 11(20): 5996.
crossref pmid pmc
24. Song W, Yang Y. Effect of Kinesio taping on delayed-onset muscle soreness in elite athletes. J Sports Med Phys Fitness. 2022; 62(5): 667–672.
crossref pmid
25. Yang JM, Lee JH. Is Kinesio Taping to Generate Skin Convolutions Effective for Increasing Local Blood Circulation? Med Sci Monit. 2018; 24:288–293.
crossref pmid pmc
26. Banerjee G, Briggs M, Johnson MI. The immediate effects of kinesiology taping on cutaneous blood flow in healthy humans under resting conditions: A randomised controlled repeated-measures laboratory study. PLoS One. 2020; 15(2): e0229386.
crossref pmid pmc
27. Melzack R, Wall PD. Pain mechanisms: a new theory. Science. 1965; 150(3699): 971–979.
crossref pmid
28. Naugle KE, Hackett J, Aqeel D, et al. Effect of different Kinesio tape tensions on experimentally-induced thermal and muscle pain in healthy adults. PLoS One. 2021; 16(11): e0259433.
crossref pmid pmc
29. Kaya E, Zinnuroglu M, Tugcu I. Kinesio taping compared to physical therapy modalities for the treatment of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Clin Rheumatol. 2011; 30(2): 201–207.
crossref pmid pdf
30. Ghai S, Ghai I, Narciss S. Influence of taping on force sense accuracy: a systematic review with between and within group meta-analysis. BMC Sports Sci Med Rehabil. 2023; 15(1): 138.
crossref pmid pmc pdf
31. Torres R, Vasques J, Duarte JA, et al. Knee proprioception after 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Int J Sports Med. 2010; 31(6): 410–415.
crossref pmid
32. Brockett C, Warren N, Gregory JE, et al. A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concentric versus eccentric exercise on force and position sense at the human elbow joint. Brain Res. 1997; 771(2): 251–258.
crossref pmid
33. Li Y, Xia Y, Zhang D, et al. Immediate effect of kinesiology taping on muscle strength, static balance and proprioception after eccentric muscle fatigue on ankle: a randomized cross-over trial. BMC Musculoskelet Disord. 2024; 25(1): 244.
crossref pmid pmc pdf
34. Konishi Y. Tactile stimulation with kinesiology tape alleviates muscle weakness attributable to attenuation of Ia afferents. J Sci Med Sport. 2013; 16(1): 45–48.
crossref pmid
35. Lin J, Guo ML, Wang H, et al. Effects of Kinesio Tape on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iomed Res Int. 2021; 2021:6692828.
crossref pmid pmc pdf
36. Lim EC, Tay MG. Kinesio taping in musculoskeletal pain and disability that lasts for more than 4 weeks: is it time to peel off the tape and throw it out with the sweat? A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focused on pain and also methods of tape application. Br J Sports Med. 2015; 49(24): 1558–1566.
crossref pmid
37. Xue X, Hao Y, Yang X, et al. Effect of Kinesio tape and Compression sleeves on delayed onset of muscle soreness: a single-blin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MC Musculoskelet Disord. 2023; 24(1): 392.
crossref pmid pmc pdf
38. Que N. Effect of kinesio taping in combination with vibration treatment on college students’ delayed-onset muscle soreness. Front Physiol. 2023; 14:1058637.
crossref pmid pmc


ABOUT
BROWSE ARTICLES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The Office of 10th Gangnam Sangga, 303, Hyoryong-ro, Seochogu, Seoul, Korea (06643)
Tel: +82-10-4044-3814    E-mail: ajk.editor@gmail.com                

Copyright © 2024 by The Asian Society of Kinesiology and the Korean Academy of Kinesi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