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Kinesio Taping and Kettlebell Training on Shoulder Isokinetic Muscle Strength and Pitching Speed of Amateur Baseball Players

Article information

Asian J Kinesiol. 2024;26(3):19-25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4 July 31
doi : https://doi.org/10.15758/ajk.2024.26.3.19
1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2Department of Leisure Sports, Seowon University, Cheongju, Republic of Korea
3Pulse LAB, Seoul, Republic of Korea
**Correspondence: Seong-Eon Kim,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Sejong University, 209, Neungdong-ro, Gwangjin-gu, Seoul, Republic of Korea; Tel: +82-10-9248-5844; Fax (Optional): +82-50-4042-9315; E-mail: kimpulse@naver.com
*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conduct of the studies
Received 2024 April 28; Revised 2024 July 15; Accepted 2024 July 30.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6 weeks of kettlebell training and kinesio taping applied to amateur baseball players on throwing velocity and isokinetic strength.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 young men with more than 2 years of experience as amateur baseball players. To determine the effect of kettlebell training and kinesio training on throwing velocity and isokinetic strength, subject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 kettlebell and kinesio taping, baseball training group (KTBG), kinesio taping group and baseball training (TBG), baseball training group (BG). Three groups trained three times a week for six weeks, and differences in shoulder isokinetic strength and throwing velocity were analyzes from pre to post training.

RESULTS

In the KTBG group, significant changes in the isokinetic muscle function of the shoulder joint were observed over time in both extensor strength (p=0.042) and flexor strength (p=0.017) at 60°/sec, as well as in extensor strength (p=0.028) and flexor strength (p=0.002) at 180°/sec. In the TBG group, only flexor strength at 180°/sec (p=0.020)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the BG group, no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over time. The group interaction effect on isokinetic muscle func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pitching velocity over time, and no group interaction was observed.

CONCLUSIONS

Therefore, a combination of 6 weeks of kettlebell training and Kinesio taping can improve the isokinetic extensor and flexor strength of the shoulder joint. Applying Kinesio taping during training can enhance the isokinetic extensor strength (180°/sec) of the shoulder joint. However, this exercise did not result in an increase in pitching velocity, and no interaction effect was observed, indicating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서론

야구는 종목 특성상 투수뿐 아니라 다른 포지션의 선수 들도 빠른 투구속도와 정확한 제구력이 요구된다. 빠른 투구와 정확한 제구를 위해 근력은 매우 중요한 체력적 요인으로 볼 수 있다[1,2]. 특히, 투구동작 중 하체로부터 파생된 힘은 허리와 상체로 전달되어 어깨와 팔꿈치, 공까지 전달되는 과정 중 50%이상의 힘이 하체와 허리에서 발생하게 된다[3].

투구 동작에서 어깨관절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관절이며, 142g의 공을 평균 90km/h 이상의 속도로 던지게 되는데 이를 어깨관절의 각속도로 환산한 경우 6100°/sec 이다. 이때, 어깨관절에 가해지는 압박력은 860N 정도 된다고 보고되고 있다[4,5]. 그러므로 투구 동작은 하체 및 허리뿐 아니라 높은 압박력을 견딜 수 있는 어깨관절의 근력 또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6,7].

선행연구에 따르면 투구속도는 어깨관절의 신근력 및 굴근력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며[8],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투구 동작의 역학적 비교 분석 또는 단순 근력 비교 연구[9-12], 투구 속도와의 상관관계 연구[8,13,14] 등이 주를 이루고 있지만 투구 속도의 향상을 위한 스포츠 보조용품의 효과 및 트레이닝의 효과검증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다양한 스포츠 보조 용품 중 키네시오 테이핑(kinesio taping) 요법은 운동선수를 대상으로 훈련 기간 및 시즌 중 운동손상예방 및 재활 요법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운동손상예방 및 재활을 넘어서 근력과 유연성 등을 향상시켜 운동수행력을 향상시켜 준다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15-18]. 키네시오 테이핑의 효과는 테이핑에 의해서 피부가 위로 들려지면 피부와 근육 사이의 공간이 커지고 그 공간으로 혈액과 림프액의 순환이 증가하여 근육의 생리적 기능이 회복되며 이로 인해 연부 조직의 강화와 안정성 향상으로 근 기능이 개선된다고 밝히고 있다[19]. 또한, 휴지모터반사(fusimotor reflex)에 의해 지속되는 근수축에 의한 근육의 긴장도를 조절함으로써 근방추(muscle spindle)와 골지건기관(golgi tendon organ)의 자극을 통해 근육의 긴장을 완화시켜 근육의 회복을 촉진하고 근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20]. 키네시오 테이핑의 운동수행력과 관련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8주간의 키네시오 테이핑 요법을 대퇴부에 처치하여 트레이닝을 한 결과 무릎 관절의 굴근력에 효과를 나타낸 연구[21]와 키네시오 테이핑을 배구선수에게 적용한 결과 스파이크 횟수가 증가할수록 속도저하를 지연시키는 효과를 보고한 연구들이 있었다[22].

다른 한편으로, 야구선수들의 투구속도 향상을 위한 트레이닝의 한 방법으로 케틀벨(kettlebell)이 제시되고 있다. 기존의 덤벨과 달리 무게중심이 가운데 있는 것이 특징이며, 역동적이고 다양한 훈련을 구사할 수 있다. 케틀벨 트레이닝은 역도 훈련과 유사한 훈련 기술을 구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근력 및 근 지구력, 근 파워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23]. 다른 연구에서는 케틀벨과 웨이트트레이닝의 복합 훈련은 고교야구선수의 기초체력과 전신 최대근력 및 투구능력에 효과적인 트레이닝 방법이라고 주장하였다[1].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듯 야구선수들의 체력과 근기능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고한 연구[24]도 보고되고 있다.

앞서 서술한바와 같이 야구 선수들의 투구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어깨관절에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하여 근력 향상을 도모함과 동시에 전신의 근력, 근지구력, 근파워를 향상시키는 케틀벨 트레이닝이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이 두가지 방법을 동시에 적용한 연구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6주간의 키네시오 테이핑 요법과 케틀벨 트레이닝이 아마추어 야구 선수의 어깨관절 등속성 근력과 투구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투구속도 향상을 위한 트레이닝 방법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

이 연구는 20대 남성 아마추어 야구선수들로 2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17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 전 모든 대상자에게 실험 참여로 인해 발생되는 위험과 이익에 대해 충분한 설명을 하였으며, 실험 목적 및 과정 또한 설명하여 동의서에 자발적 서명을 받고 난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룹은 케틀벨 트레이닝과 키네시오 테이핑, 기존 야구 훈련을 결합한 그룹(kettlebell and kinesio taping, baseball training group, KTBG)과 키네시오 테이핑과 기존 야구 훈련을 결합한 그룹(kinesio taping and baseball training group, TBG), 기존 야구 훈련만 진행한 그룹(baseball training group, BG)로 무선 배정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신체적 특징은 <Table 1>과 같다.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2. 측정절차

이 연구는 아마추어 야구선수 17명을 대상으로 6주간의 키네시오 테이핑과 케틀벨 트레이닝을 결합한 운동형태가 어깨관절의 등속성 근력 및 투구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케틀벨을 포함한 모든 훈련은 주3회 실시하였으며, 키네시오 테이핑은 훈련시에만 적용하였다. 구체적 실험 절차는 <Figure 1>과 같다.

Figure 1.

Measurement procedure.

3. 측정방법 및 측정도구

1) 등속성 근력

등속성 근력 검사는 Humac Norm(CSMI, USA)를 이용하여 어깨관절의 굴근력(flexor)과 신근력(extensor)을 상대 근력(%BW peak torque)값을 산출하여 측정하였다.

어깨관절의 굴근력 및 신근력 측정을 위해 dynamometer를 0로 맞춘 후 어깨관절용 adapter를 튜부에 견착시켜 대상자를 눕힌 뒤 dynamometer와 adapter의 길이를 팔 길이에 맞도록 조정하였다. 그 후, 벨트로 몸과 골반을 고정시켜 60°/sec에서 3회, 180°/sec에서 5회를 측정하였으며, 측정 전 충분히 동작을 숙지시킨 후 측정하였다.

2) 투구 속도 측정

투구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는 실내 체육관에서 측정하였다. 정식 투구 거리인 18.44m의 거리에서 스피드 건(Bushinell, USA)을 이용하여 투수 뒤편에서 측정하였다. 준비운동으로 10분간 같은 동작의 스트레칭을 실시한 후 추가적으로 10분간 캐치볼을 실시하였다. 연습 투구 10회 후 총 20회를 측정하였으며, 스트라이크로 인정되는 투구 중 가장 빠른 구속을 산출하여 통계에 활용하였다.

3) 키네시오 테이핑

키네시오 테이핑(50mm x 4m, Japan)은 야구선수들의 투구 동작 중 어깨관절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알려진 가시위근(supraspinatus), 가시 아래근(infraspinatus), 작은 원근(teres minor)에 부착하였다. 키네시오 테이핑의 처치는 공을 던지는 어깨 부위에만 부착하였다. 테이핑 부착방법은 <Figure 2>와 같다.

Figure 2.

Kinesio taping attachment location.

4) 케틀벨 트레이닝 방법

케틀벨을 활용한 트레이닝은 Bellomo & Dave [26]가 주장한 야구선수의 시즌 전 트레이닝 프로그램 중 초보자가 따라하기 어려운 동작을 제외한 후 기본이 되는 동작 위주로 진행되었다. 케틀벨의 중량은 남자 초보자가 사용하기 적절한 무게인 16kg으로 통일하여 트레이닝이 적용되었으며[27], 6주간 주3회 실시하였다. 트레이닝의 구체적인 프로그램은 Table 2와 같다.

6-week kettlebell training program.

4. 자료처리

이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version26.0)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기술통계를 활용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KTBG 및 TBG, BG의 등속성 근력 및 투구속도에 나타나는 시기간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대응 표본 t-검정(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그룹간 사전·사후의 등속성 근력과 투구속도의 주효과검증을 위해 공분산분석(analysis of covariance, ANCOVA))을 사용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a=.05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1. 등속성 근력 변화

KTBG 및 TBG, BG 그룹의 등속성 근력 시기간의 변화와 상호작용 효과는 <Table 3>와 같다. KTBG 그룹의 등속성 신근력 및 굴근력은 60°/sec에서 각각 (p=.042), (p=.017)로 시기간의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으며, 180°/sec에서 각각 (p=.028), (p=.002)로 시기간의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TBG 그룹의 등속성 신근력 및 굴근력은 60°/sec에서 각각 (p=.475), (p=.146)로 시기간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180°/sec에서 신근력은 (p=.092)로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굴근력은 (p=.020)로 시기 간의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BG 그룹의 그룹의 등속성 신근력 및 굴근력은 60°/sec에서 각각 (p=.091), (p=.212)로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180°/sec에서 각각 (p=.178), (p=.089)로 유의한 수준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그룹 간의 상호작용은 등속성 60°/sec 신근력 및 굴근력에서 (p=.095), (p=.359)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180°/sec 신근력 및 굴근력에서 (p=.097), (p=.123)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he comparison of pre and post isokinetic muscle strength(%BW) variables by group.

2. 투구속도의 변화

KTBG 및 TBG, BG 그룹의 투구속도 변화와 상호작용 효과는 <Table 4>와 같다. KTBG 및 TBG, BG 그룹의 시기 간의 투구속도 변화는 각각 (p=.166), (p=.546), (p=.1.00)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투구 속도의 그룹 간 상호작용은 (p=.588)로 유의한 수준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Change in throwing velocity.

논의

이 연구의 목적은 야구선수들의 투구 속도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진 키네시오 테이핑 요법과 케틀벨을 활용한 전신 근력운동을 결합한 프로그램을 적용할 경우 어깨관절의 등속성 근력 및 투구속도의 향상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지 검증하여 아마추어 야구선수들의 트레이닝 방법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한 결과 KTBG는 60°/sec의 등속성 신근력 및 굴근력, 180°/sec 신근력 및 굴근력에서 모두 시기간의 유의한 수준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TBG는 180°/sec의 굴근력에서만 시기간의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었으며, BG는 시기간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하지만, 등속성 근기능의 상호작용을 분석한 결과 그룹간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투구속도 또한 시기간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그룹간 상호작용 또한 관찰되지 않았다.

많은 선행연구에서 케틀벨을 활용한 트레이닝이 야구선수의 체력적인 요소들을 향상시켰다고 보고하고 있다[24-26]. 이러한 결과는 케틀벨의 교유한 디자인이 덤벨 및 바벨과 다르게 질량 중심이 손의 그립(grip) 너머 확장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 부분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27]. 독특한 케틀벨의 설계방식은 역도의 스내치(snatch), 클린(clean), 저크(jerk) 및 스윙(swing)과 같은 운동 시 근위(proximal)부에서 원위(distal)부로 이동되는 케틀벨 질량 중심의 가속 및 감속에 영향을 미치며, 척추의 회전이 포함되는 복잡한 운동까지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케특벨 트레이닝의 특이성은 야구 투수의 투구 시 진행되는 동안 하체에서 전달되는 힘이 엉덩이와 허리를 타고 몸통과 어깨로 전달되어 손끝 즉, 원위부로 전달되는 과정과 비슷하다. 본 연구에서도 KTBG 그룹이 60°/sec 및 180°/sec의 등속성 신근력 및 굴근력에서 모두 시기간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반면 테이핑과 야구 훈련만 진행한 TBG는 180°/sec의 굴근력에서만 시기간의 효과가 나타났으며, 야구 훈련만 진행할 BG에서는 시기간의 어떠한 효과도 관찰되지 않았다. 하지만 등속성 근기능의 그룹간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야구선수들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중학교 야구선수들을 대상으로 한 8주간의 케틀벨 트레이닝을 통해 기초체력과 등속성 근기능 모두 긍적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연구[24], 8주간의 케틀벨과 웨이트 트레이닝 복합운동을 통해 고교야구선수의 기초체력과 전신 최대근력 및 투구능력에 긍정적으로 효과를 본 연구 결과[1]들을 살펴보았을 때, 본 연구에서 상호작용의 효과가 관찰되지 않은 것은 케틀벨 운동이라는 생소한 운동의 적응기간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 적용된 6주의 트레이닝 기간보다 최소 8~12주 이상의 트레이닝 기간이 적용되어야 긍정적인 훈련효과가 관찰될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케틀벨 및 근신경 조절 같은 기능적 운동을 통해 운동손상예방을 지향하는 An & Lee [28]의 연구에서도 볼 수 있듯이 전통적인 웨이트 트레이닝 프로그램과 더불어 키네시오 테이핑과 기능적 운동인 케틀벨을 활용한 운동방법은 엘리트 및 생활체육인들에게 적극 장려되어야 할 것이다.

결론

운동선수들의 부상예방과 운동수행력 향상을 위해 기능적 운동인 케틀벨과 키네시오 테이핑을 결합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진보된 기능적 운동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 비교적 짧은 트레이닝 기간으로 인한 이 연구에서의 제한된 연구결과를 개선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References

1. Lee SY, Han JK. Effects of kettlebell and weight training on basic fitness, maximum body strength and throwing ability of high school baseball players. J Coach Dev 2020;22(3):90–9.
2. Shin KS. A Comparative Analysis of Isokinetic Strength of between Shoulder Muscles Baseball and Handball Players. Kor J Phys 1997;36(2):264–71.
3. Coleman AE. 52-week baseball training Hum Kinet; 2000.
4. Gainor BJ, Piotrowski G, Puhl J, et al. The throw: biomechanics and acute injury. Am J of Sports Med 1980;8(2):114–8.
5. McMahon PJ, Dettling J, Sandusky MD, et al. The anterior band of the inferior glenohumeral ligament: Assessment of its permanent deformation and the anatomy of its glenoid attachment. J Bone Joint Surg Br 1999;81(3):406–13.
6. Kim SY, Kim JT, Song HS, Park JC. Comparison of Pitching Motion of High School Baseball Pitchers. Kor J Sport Sci 2014;25(1):21–9.
7. Jeon DY. Determinants of Pitch Speed and Ball Control of Baseball Club Pitchers. J Coach Dev 2014;16(2):189–97.
8. Kim YB, Kim JH, Chol JI, et al. The correlation fast ball and slider speed physique related isokinetic muscular peak torque of university baseball pitchers. Kor J Sports Sci 2014;23(1):1123–33.
9. Dupuis C, Tourny-Chollet C, Delarue Y, Beuret-Blanquart F. Influence of baseball practice on strength ratios in shoulder rotator muscles: A new position for isokinetic assessment. Isokinet Exerc Sci 2004;12(2):149–57.
10. Nho HS, Yang SW. Comparison of the shoulder, knee, and lumbar joint of professional baseball players on isokinetic muscular. Kor J Sports Sci 2011;20(3):1501–8.
11. Woo BH, Jung YJ. Kinematical analysis of fastball and longtoss during baseball throwing. Kor J Sport Biomech 2009;19(3):425–33.
12. Yu JH, Lee SM. Difference of shoulder range of motion, strength and endurance between baseball athlete and tennis athlete according to overhead throwing. J Coach Dev 2010;12(2):165–73.
13. Kim JW, Park SH. The effect of 6-week training program on knees to increase ball speed among collegiate baseball pitchers. Kor J Sports Sci 2011;20(2):927–34.
14. Cho JH, Lim SK, Kwon TY. The correlation between throwing speed and shoulder internal/external rotator, trunk flexor/extensor, knee flexor/extensor strength and power in the professional baseball pitchers. J Kor Sports Med 2006;24(2):158.
15. Kang HY, Moon GS, Choi JY. Electromyographical analysis of the upper Limb according to application of sports-taping on golf swing. J Kor Phys Ed 2006;45(1):789–97.
16. Kim MK. Impact of Functional Taping Treatment on Shoulder Joint Area for Middle School Wrestling Athletes on Muscle Function during Isokinetic Exercise. J Exer Rehab 2011;7(4):71–8.
17. Yeo SS, Kang JH, Kwon YH, Kim CS. The effects of wrist supporter and kinesio taping on grip strength. J Kor Soc of Phys Med 2008;3(3):167.
18. Lee SH, Kim IY, Han SC. The effects of apply kinesio taping on swimmer· s muscular strength, flexibility, performance and lactic acid. J Sport Leis Stud 2010;41(2):677–86.
19. Ramon T, Prades M, Armengou L, et al. Effects of athletic taping of the fetlock on distal limb mechanics. Equine Vet J 2004;36(8):764–8.
20. Kim SM. The effects of taping on musculoskeletal system pain and dysfunction. J Coach Dev 2007;9(3):81–93.
21. Sin JG, Kim CK, Jeon YK. Influence of high school football players related kinesio taping application isokinetic strength and skill performance ability. Kor Soc Well 2011;6(2):379–88.
22. Lee JH, Jung HY. Effects of Kinesio Taping on Spike Speed in Volleyball Players. J Kor Phys Ed 2013;52(4):503–11.
23. Lake JP, Lauder MA. Kettlebell swing training improves maximal and explosive strength. J Strength Cond. Res 2012;26(8):2228–33.
24. Na WC, Park H, Kim D. The Influence of Kettlebell Training for 8 weeks on Physical Fitness and Isokinetic Muscular Strength in Middle-school Baseball Players. Kor Soc Phys Ed 2022;27(1):119–28.
25. Kim TY, Park WY, Byun YH. Effects of Kettlebell Training on Functional Movement Screen and Balance in Middle School Baseball Players. J Kor Appl Sci Technol 2022;39(1):96–107.
26. Park JH, Ki BB. The Effect of Core Stabilization Training Using Small Tools on Professional Fitness and Pitching Ability of College Baseball Players. Kor Soc Phys Ed 2022;27(3):151–61.
27. Manocchia P, Spierer DK, Lufkin AK, et al. Transference of kettlebell training to strength, power, and endurance. J Strength Cond Res 2013;27(2):477–84.
28. An KO, Lee KJ. Sports injury prevention and functional training: a literature review. Asian J Kinesiol 2021;23(1):46–52.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ure 1.

Measurement procedure.

Figure 2.

Kinesio taping attachment location.

Table 1.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ge (yr) height (cm) Weight (kg) Body Fat (%) Muscle Mass (kg)
KTBG (n=5) 20.05 ± 0.54 175.96 ± 3.56 76.46 ± 7.78 18.64 ± 3.71 35.84 ± 3.15
TBG (n=6) 21.16 ± 1.94 173 ± 3.79 91.26 ± 14.70 28 ± 6.18 37.83 ± 3.94
BG (n=6) 21.5 ± 2.81 175.83 ± 2.04 77.86 ± 10.88 18.16 ± 4.17 36.76 ± 4.34

Values are means ± SD.

Table 2.

6-week kettlebell training program.

Week Type Reps Set Time
1~2 Two Hands Swing 10 3 Set 50~60min
Single Snatch 20
One Hand Swing 10
One Stay Up Press 10
Kettlebell Pass 10
Side Suffle 10
Kettlebell Clean and Jerk 10
3~4 Kettlebell Pass 10 3 Set 50~60min
Two Hands Swing 20
Single Snatch 10
One Hand Swing 10
Alternating Clean 10
Triceps Extension 10
Kettlebell Clean and Jerk 10
5~6 One Stay Up Press 10 3 Set 50~60min
Two Hands Swing 20
Side Suffle 20
Single Snatch 10
Kettlebell Forward Lung 10
One Hand Swing 10
Side Bend 10
Kettlebell Clean and Jerk 10

Table 3.

The comparison of pre and post isokinetic muscle strength(%BW) variables by group.

Variable Group Pre Post Paired T-Test
AnCOVA
t P F p
60°/sec(Nm) Shoulder Extensor KTBG 74.60 ± 15.74 94.40 ± 9.34 -2.944 .042* 2.885 .095
TBG 76.00 ± 13.86 79.50 ± 15.96 -.773 .475
BG 87.50 ± 5.28 94.50 ± 11.60 -2.092 .091
Shoulder Flexor KTBG 63.20 ± 11.37 80.60 ± 10.69 -3.904 .017* 1.108 .359
TBG 52.50 ± 8.21 63.67 ± 19.59 -1.718 .146
BG 79.00 ± 8.12 82.67 ± 5.53 -1.430 .212
180°/sec(Nm) Shoulder Extensor KTBG 58.20 ± 17.05 86.20 ± 12.97 -3.354 .028* 2.801 .097
TBG 58.50 ± 14.29 68.17 ± 14.16 -2.081 .092
BG 73.16 ± 14.21 86.66 ± 13.51 -1.567 .178
Shoulder Flexor KTBG 64.40 ± 8.44 86.80 ± 10.82 -7.170 .002** 2.468 .123
TBG 46.00 ± 8.62 64.33 ± 17.79 -3.352 .020*
BG 73.50 ± 9.99 80.16 ± 7.03 -2.111 .089

Values are means ± SD.

*

p<.05,

**

p<.01.

Table 4.

Change in throwing velocity.

Variable Group Pre Post Paired T-Test
AnCOVA
t p F p
Throwing velocity(km/h) KTBG 117.80 ± 5.63 120.60 ± 3.13 -1.692 .166 .554 .588
TBG 112.00 ± 12.50 113.33 ± 9.81 -.647 .546
BG 119.83 ± 7.80 119.83 ± 9.70 .000 1.00

Values are means ± SD.